-
[알고리즘] #완주하지 못한 선수■ Algorithm 2019. 4. 16. 10:32
출처: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576
알고리즘 연습 - 완주하지 못한 선수 | 프로그래머스
실행 결과가 여기에 표시됩니다.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수많은 마라톤 선수들이 마라톤에 참여하였습니다. 단 한 명의 선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선수가 마라톤을 완주하였습니다.
마라톤에 참여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participant와 완주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completion이 주어질 때, 완주하지 못한 선수의 이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마라톤 경기에 참여한 선수의 수는 1명 이상 100,000명 이하입니다.
- completion의 길이는 participant의 길이보다 1 작습니다.
- 참가자의 이름은 1개 이상 20개 이하의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참가자 중에는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
participant completion return [leo, kiki, eden] [eden, kiki] leo [marina, josipa, nikola, vinko, filipa] [josipa, filipa, marina, nikola] vinko [mislav, stanko, mislav, ana] [stanko, ana, mislav] mislav 입출력 예 설명
예제 #1
leo는 참여자 명단에는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없기 때문에 완주하지 못했습니다.예제 #2
vinko는 참여자 명단에는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없기 때문에 완주하지 못했습니다.예제 #3
mislav는 참여자 명단에는 두 명이 있지만, 완주자 명단에는 한 명밖에 없기 때문에 한명은 완주하지 못했습니다.참고로 이 문제의 풀이 주제는 '해시(Hash)' 이다.
하지만 가장 단순한 방법부터 차례대로 풀어보기로 했다.
#1. For문을 이용해 처음부터 하나씩 비교하는 방법
참가자 리스트(participant)는 항상 완주자 리스트(completion)보다 1개 많으므로
리스트의 원소를 한 개씩 비교하면서 같은 이름을 가진 원소인 경우, 참가자 리스트의 해당 원소를 지운다.
결과적으로 참가자 리스트의 0번째 원소가 완주하지 못한 선수가 된다.
function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 for(let i=0; i<completion.length; i++) { for(let j=0; j<participant.length; j++) { if(participant[j] === completion[i]) { participant.splice(j,1); break; } } } return participant[0]; }
>>>> 정확성 테스트 통과, 그러나 효율성 테스트 실패
실제로 아래 테스트 결과를 보면, 데이터의 갯수가 많아질수록 소요시간이 길다.
테스트 1 〉 통과 (1.94ms, 37MB) 테스트 2 〉 통과 (2.01ms, 37.3MB) 테스트 3 〉 통과 (46.49ms, 37.9MB) 테스트 4 〉 통과 (158.02ms, 38.9MB) 테스트 5 〉 통과 (157.40ms, 38.6MB)
#2. 정렬을 이용한 방법
참가자 리스트와 완주자 리스트 원소는 1개를 제외하고 모두 같다.
따라서 정렬을 이용해서 각 index에 해당하는 원소 값이 다르면 완주하지 못한 선수로 판단할 수 있다.
function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 participant.sort(); completion.sort(); for(let i in participant) { if(participant[i] !== completion[i]) { return participant[i]; } } }
>>>> 정확성 테스트 통과, 그러나 효율성 테스트 1개 실패
정확성 테스트 소요시간이 크게 줄었고 효율성 테스트 5개 중 4개 모두 통과했지만, 여전히 데이터가 많을 경우 시간초과에 걸린다.
최악의 경우, 100000명이 참가했으나 99999번째 선수가 완주하지 못했을 경우 99999번까지 for문이 돌아야 한다.
정확성 테스트
테스트 1 〉 통과 (2.36ms, 37MB) 테스트 2 〉 통과 (2.34ms, 36.4MB) 테스트 3 〉 통과 (4.27ms, 37.1MB) 테스트 4 〉 통과 (9.90ms, 37.8MB) 테스트 5 〉 통과 (8.26ms, 37.4MB) 효율성 테스트
테스트 1 〉 통과 (109.86ms, 55.5MB) 테스트 2 〉 통과 (217.93ms, 65.8MB) 테스트 3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4 〉 통과 (251.66ms, 73.9MB) 테스트 5 〉 통과 (215.19ms, 70.2MB) >>>> 참고. javascript Array.sort() 함수에 대하여
Array.prototype.sort()
sort() 메서드는 배열의 요소를 적절한 위치에 정렬한 후 그 배열을 반환합니다. 정렬은 stable sort가 아닐 수 있습니다. 기본 정렬 순서는 문자열의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를 따릅니다.
developer.mozilla.org
#3. Map을 이용한 방법
key-value를 name-사람수 로 하는 완주자 Map 객체를 생성한 뒤, 참가자의 이름을 key로 하는 key/value 쌍이 없거나, 있는 경우에는 value 값이 0인 경우 해당 key 값을 리턴하는 방법이다.
function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 // 완주자 HashMap 생성 let completionMap = new Map(); for(let c of completion) { if(!completionMap.has(c)) { completionMap.set(c, 1); } else { completionMap.set(c, completionMap.get(c)+1); } } for(let p of participant) { if(!completionMap.has(p)) { return p; } else { if(completionMap.get(p) === 0) { return p; } else { completionMap.set(p, completionMap.get(p)-1); } } } }
>>>> 정확성 테스트 통과, 그러나 효율성 테스트 실패
정렬을 이용한 방법보다 처리 속도는 조금 빨라졌지만, 효율성 테스트에서는 실패.. 부들부들..
해시 관련 문제여서 Map으로 풀어보려고 했는데 잘 안된다. 이 문제는 정렬로 푸는게 더 나은걸까..?
좀 더 고민해봐야할듯..
정확성 테스트
테스트 1 〉 통과 (2.29ms, 37.2MB) 테스트 2 〉 통과 (2.14ms, 36.8MB) 테스트 3 〉 통과 (3.90ms, 37.9MB) 테스트 4 〉 통과 (9.42ms, 38.8MB) 테스트 5 〉 통과 (8.01ms, 38.2MB) 효율성 테스트
테스트 1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2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3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4 〉 실패 (시간 초과) 테스트 5 〉 실패 (시간 초과) >>>> 참고. javascript Map에 대하여..
Map
Map 객체는 키-값 쌍을 저장하며 각 쌍의 삽입 순서도 기억합니다.
developer.mozilla.org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Validate Binary Search Tree (0) 2019.04.18 [알고리즘] #Same Tree (0) 2019.04.18 [알고리즘] #Add Two Numbers (0) 2019.04.18 [알고리즘] #Two Sum (0) 2019.04.17 [알고리즘] #전화번호 목록 (0) 2019.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