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알고리즘] #쇠막대기
    ■ Algorithm 2019. 4. 20. 23:18

    출처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585

     

    알고리즘 연습 - 쇠막대기 | 프로그래머스

    실행 결과가 여기에 표시됩니다.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합니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릅니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합니다.

    - 쇠막대기는 자신보다 긴 쇠막대기 위에만 놓일 수 있습니다. - 쇠막대기를 다른 쇠막대기 위에 놓는 경우 완전히 포함되도록 놓되, 끝점은 겹치지 않도록 놓습니다. - 각 쇠막대기를 자르는 레이저는 적어도 하나 존재합니다. - 레이저는 어떤 쇠막대기의 양 끝점과도 겹치지 않습니다.

    아래 그림은 위 조건을 만족하는 예를 보여줍니다. 수평으로 그려진 굵은 실선은 쇠막대기이고, 점은 레이저의 위치, 수직으로 그려진 점선 화살표는 레이저의 발사 방향입니다.

    이러한 레이저와 쇠막대기의 배치는 다음과 같이 괄호를 이용하여 왼쪽부터 순서대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a) 레이저는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의 인접한 쌍 '()'으로 표현합니다. 또한 모든 '()'는 반드시 레이저를 표현합니다. (b) 쇠막대기의 왼쪽 끝은 여는 괄호 '('로, 오른쪽 끝은 닫힌 괄호 ')'로 표현됩니다.

    위 예의 괄호 표현은 그림 위에 주어져 있습니다.
    쇠막대기는 레이저에 의해 몇 개의 조각으로 잘리는데, 위 예에서 가장 위에 있는 두 개의 쇠막대기는 각각 3개와 2개의 조각으로 잘리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어진 쇠막대기들은 총 17개의 조각으로 잘립니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표현한 문자열 arrangement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잘린 쇠막대기 조각의 총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rrangement의 길이는 최대 100,000입니다.
    • arrangement의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는 항상 쌍을 이룹니다.

    입출력 예

    arrangementreturn

    ()(((()())(())()))(()) 17

    입출력 예 설명

    문제에 나온 예와 같습니다.

     

     

     

     


    #최초 풀이

    이 문제는 보자마자 stack을 이용해서 풀어야겠다고 생각했다.

     

    1. String으로 받은 문자열을 Character Array로 변환한다.

    2. 위 Character Array의 Index를 저장하는 Stack<Integer>를 생성한다.

    3. 변환한 Array를 for문을 돌면서, '('일 때와 ')'를 나눠서 분기처리한다.

    3-1. '('인 경우

    -> stack에 push.

    3-2. ')'인 경우

    -> stack에서 pop. 이 때, pop한 값과 현재 index의 차이가 1이면 레이저이고 아니면 막대기이다.

    4. 막대기 사이에 있는 레이저 갯수를 구한 뒤, 그 값에 1을 더한 값을 answer에 더해준다.

    -> answer += '막대 사이에 있는 레이저 갯수' + 1;

     

     

    소스코드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Stack;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arrangement) {
            if(arrangement == null || arrangement.equals("")) {
            	return 0;
            }
            
            // convert string to character array
            char[] charArr = arrangement.toCharArray();
    
            List<HashMap> arrList = new ArrayList<>();		// 쇠막대 idx 리스트 
            List<Integer> laserList = new ArrayList<>();	// 레이저인 idx 리스트(시작 idx만 저장)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Integer>();	// 레이저인지 쇠막대인지 구분하기 위한 stack
            
            for(int i=0; i<charArr.length; i++) {
            	if(charArr[i] == '(') {
            		stack.push(i);
            	} else {
            		int startIdx = stack.pop();
            		if(i - startIdx == 1) {					//레이저인 경우 
            			laserList.add(i);
            		} else {								// 막대인 경우 
            			HashMap<String, Object> item = new HashMap();
            			item.put("startIdx", startIdx);
            			item.put("endIdx", i);
            			arrList.add(item);
            		}
            	}
            }
            
            int answer = 0;
            for(int i=0; i<arrList.size(); i++) {
            	// 막대 사이 레이저 갯수 구하기 
            	int startIdx = Integer.parseInt(arrList.get(i).get("startIdx").toString());
            	int endIdx = Integer.parseInt(arrList.get(i).get("endIdx").toString());
            	int cnt = 0;
            	
            	for(int j=0; j<laserList.size(); j++) {
            		if(laserList.get(j) > startIdx && laserList.get(j) < endIdx) {
            			cnt++;
            		}
            	}
            	
            	if(cnt > 0) {
            		answer += cnt+1;
            	}
            }
            return answer;
        }
    }

    테스트는 모두 통과했지만, 소요시간 무엇..?

    코드를 다시 보니까 굳이 for문을 2번 돌릴 필요가 없었다. 게다가 두 번째 for문은 이중 for문...

     

     


    #불필요한 코드를 없애고 수정한 두 번째 풀이.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Stack;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arrangement) {
            if(arrangement == null || arrangement.equals("")) {
            	return 0;
            }
            
            // convert string to character array
            char[] charArr = arrangement.toCharArray();
            List<Integer> laserList = new ArrayList<>();	// 레이저인 idx 리스트(시작 idx만 저장)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Integer>();	// 레이저인지 쇠막대인지 구분하기 위한 stack
            
            int answer = 0;
            for(int i=0; i<charArr.length; i++) {
            	if(charArr[i] == '(') {
            		stack.push(i);
            	} else {
            		int startIdx = stack.pop();
            		if(i - startIdx == 1) {	//레이저인 경우 
            			laserList.add(i);
            		} else {	// 막대인 경우 
            			int cnt=0;
            			for(int j=0; j<laserList.size(); j++) {
                    		if(laserList.get(j) > startIdx && laserList.get(j) < i) {
                    			cnt++;
                    		}
                    	}
                    	if(cnt > 0) {
                    		answer += cnt+1;
                    	}
            		}
            	}
            }
            return answer;
        }
    }

    정확성 테스트

    테스트 1 통과 (888.03ms, 50.5MB)
    테스트 2 통과 (1.70ms, 45MB)
    테스트 3 통과 (711.92ms, 48.3MB)
    테스트 4 통과 (19.04ms, 45.8MB)
    테스트 5 통과 (32.94ms, 48.9MB)
    테스트 6 통과 (33.13ms, 45.9MB)
    테스트 7 통과 (349.22ms, 47.5MB)
    테스트 8 통과 (313.14ms, 50.9MB)
    테스트 9 통과 (434.75ms, 47.2MB)
    테스트 10 통과 (359.16ms, 47.6MB)
    테스트 11 통과 (251.82ms, 49.2MB)
    테스트 12 통과 (221.28ms, 47.6MB)
    테스트 13 통과 (278.03ms, 50.8MB)
    테스트 14 통과 (469.46ms, 47.9MB)
    테스트 15 통과 (534.82ms, 47.6MB)
    테스트 16 통과 (622.50ms, 47.8MB)
    테스트 17 통과 (783.94ms, 50.6MB)
    테스트 18 통과 (831.95ms, 47.9MB)
    테스트 19 통과 (805.84ms, 48MB)
    테스트 20 통과 (827.97ms, 51.6MB)

     

    확실히 전보다 소요시간이 절반 이상으로 줄었다.

    시간 제한을 두고 풀다보니까 문제를 푸는 거에 급급해서 효율성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했던 것 같다.

    계속 연습하다보면 처음 풀 때 고려하게 되겠지?

     

     

     

    + JavaScript 풀이

    function solution(arrangement) {
        // convert string to character array
        let charArr = [];
        charArr = arrangement.split('');
        
        let stack = [];
        let laserList = [];
        let answer = 0;
        for(let i=0; i<charArr.length; i++) {
            if(charArr[i] == '(') {
                stack.push(i);
            } else {
                let startIdx = stack.pop();
                if(i - startIdx == 1) {	//레이저인 경우 
                    laserList.push(i);
                } else {	// 막대인 경우         			
                    let cnt=0;
                    for(let j=0; j<laserList.length; j++) {
                        if(laserList[j] > startIdx && laserList[j] < i) {
                            cnt++;
                        }
                    }
                    if(cnt > 0) {
                        answer += cnt+1;
                    }
                }
            }
        }
        return answer;
    }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H-Index  (0) 2019.04.22
    [알고리즘] #K번째수  (0) 2019.04.21
    [알고리즘] #Validate Binary Search Tree  (0) 2019.04.18
    [알고리즘] #Same Tree  (0) 2019.04.18
    [알고리즘] #Add Two Numbers  (0) 2019.04.18
Designed by Tistory.